항생제가 안 듣는다... 슈퍼세균 감염 4만 명 넘어, 사망자 838명 충격

CRE 감염증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내세균에 의한 감염 질환이다. 이 세균이 요로나 혈류 등 다른 부위로 유입되면 요로 감염, 혈류 감염, 폐렴과 같은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CRE로 인한 감염증 발생 시 사망률은 26~75% 수준으로 매우 높다.
CRE 감염증 신고 건수는 2019년 1만 5369건, 2020년 1만 8113건, 2022년 2만 3311건 등으로 매년 20~30%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0.3% 증가했다.
특히 고령층이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감염자 중 70세 이상이 2만 8713건으로 전체의 67%를 차지했으며, 60~69세(7694명)를 포함하면 60세 이상이 전체 감염자의 85%에 달했다.
항생제 오남용이 CRE 감염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보다 약 1.2배(2021년 기준) 높은 수준이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의료기관에서 처방되는 항생제 중 약 30%가 부적절한 처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것이다.

한편,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수 감시 법정 감염병(1∼3급) 신고 환자 수는 총 16만 8586명(인구 10만 명당 329명)으로, 2023년 10만 9087명과 비교해 5만 9499명(54.5%)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와 매독을 제외한 수치다.
2023년 대비 지난해 환자가 크게 늘어난 주요 감염병으로는 백일해, 성홍열, 수두, CRE 감염증 등이 있다. 특히 백일해는 2023년 292명에서 지난해 4만 8048명으로 164.5배 폭증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지난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으며, 2023년 11월에는 백일해에 걸린 영아가 사망해 2011년 통계 작성 이후 국내 첫 백일해 사망 사례로 기록됐다.
호흡기 전파 감염병인 성홍열도 미취학 영유아와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해 지난해 환자가 전년의 8.1배인 6642명으로 신고됐다. 수두 환자는 3만 1892명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했으며,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쯔쯔가무시 환자도 6268명으로 10.7% 늘었다.
해외 유입 감염병은 606명으로 전년 대비 55.8%(코로나19 제외) 증가했다. 뎅기열(196명), 매독(117명), 말라리아(54명), 수두(43명), C형 간염(41명) 순으로 해외 유입 사례가 많았으며, 79.5%가 아시아 국가에서 유입된 경우였다. 작년 법정 감염병 사망자(결핵 제외)는 1238명으로, 전년 대비 18.2% 증가했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집에서 5분만 "이것"해라! 피부개선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